본문 바로가기

SMALL

프로그래밍 언어/JAVA

(9)
JAVA 배열 배열 배열이란?배열은 같은 타입의 변수 여래개를 하나로 묶어둔 형태이다. 만약 배열을 쓰지 않고 변수 10개를 만들려면 변수10개마다 각각의 이름을 지정해야한다. 이렇게 힘들게 변수들을 초기화 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해줄수 있는게 배열이다.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은 2가지이다. 1.배열의 길이만 정해서 생성하는 방법 타입[] 배열이름 = new 타입[길이]; 이나 타입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ex)int arr[] = new int[10]; 2.배열의 길이와 값을 동시에 생성하는 방법 타입[] 배열이름 = new 타입[] {데이터,데이터,데이터,데이터,데이터};ex)int[] arr = new int[] {1,2,3,4,5}; ※ {데이터, 데이터 , 데이터, , } 이렇게 하면 길이는 5개이고 ..
JAVA 반복문 while 반복문 while(){} while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①에서의 조건식에 따라 ②의 반복문을 실행여부가 판별된다.그리고 조건식이 false 일때까지 계속 반복된다.그러므로 한번도 반복되지 않고 넘어갈수도 있고 무한반복이 될수도 있다. while문을 변형한 do while 문이 있다. do while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조건식 다음에 ;을 꼭해야한다. 차이점은 조건식의 위치이다. while문은 한번도 실행 안할 수 있지만do while문은 무조건 한번은 실행된다. 7번째 줄은 Random 객체를 생성한 것이다.8번째 줄은 0~10까지 랜덤으로 정수를 받는 것이다.
JAVA 반복문 for 반복문 for(){} 반복문은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주어진 문장들을 계속 수행한다.반복문에는 for,while이 있다. for문의 구조와 원리는 다음과 같다. ※설정을 잘못하면 끊임없이 계속 실행하거나 아예 실행이 안될 수도 있다. 13번에서 i가 이전에 초기화 되지 않았으면 초기화를 for문 안에 하면 된다.5~9 줄을 13~15까지 간단하게 나타낼수 있다.이렇듯 반복문은 코드의 줄을 줄일 수 있다. 사진이 길어서 잘랐지만 9 * 9 = 81까지 다 출력되어 있다.for은 이렇듯 이중으로 엮어서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이중으로 쓸때 for문을 사용하기 위해 초기화한 변수들의 값을 잘 확인해야한다. ※6.조건문에서 언급했듯 break는 조건문이나 반복문을 강제로 나올수 있다.
JAVA 조건문 switch 조건문 switch(){} switch()문은 if()문과 달리 true,false 뿐만 아니라 다른 경우의 수를 처리할 수 있다.특히, 메뉴를 만들때 유용하다.switch()문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switch(변수){ case 값1 : break; case 값2 : break; case 값3 : break; default : } break는 반복문이나 조건문을 그만하고 싶을때 쓰는 것이다.default는 case문이 없을 경우 default로 이동한다. 보통 default는 switch에 마지막에 적어두므로 break를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switch()문의 실행과정은 변수의 값이 case로 정해준 값과 같으면 그 case로 이동한다.그리고 break문에 의해서 switch()문을 빠져 나..
JAVA 조건문 if() 조건문 if() 일반적으로 코드의 실행 순서는 위에서 밑으로 한문장씩 실행된다.하지만 이 실행 순서를 제어하는 문장을 '제어문' 이라고 한다. 제어문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다른문장을 실행 시키는 "조건문"이 있다. if (조건) {} ex) if (true) {System.out.println("hello~");} if() 문은 조건이 true 일때, {} 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시킨다.반대로 false 일때는 {}안의 코드를 실행하지 않는다. 11번째 줄에 조건문의 값이 true 이므로 {}안의 코드를 실행시킨다.13번째 줄에 return은 함수를 빠져나온다는 의미인데 이것은 나중에 뒤에 설명하겠다.만약 13번째줄이 없다면 15번째 줄도 실행이 된다. if 뿐만아니라 else 와 else if 도..
JAVA 연산자 연산자 연산자는 '연산을 하는 기호'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연산자는 사칙연산( + , - , * , / )에 사용되는 기호이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더 많은 연산자가 있다. 1. 산술연산자 산술연산자에는 ( + , - , * , / ) 들이 있다. 연산자 설명 + 왼쪽이랑 오른쪽에 값을 더한다 - 왼쪽값에 오른쪽값을 뺀다 * 왼쪽값이랑 오른쪽값을 곱한다 / 왼쪽값에서 오른쪽값을 나눈다 % 왼쪽값에서 오른쪽값을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2. 비교연산자 비교연산자에는 ( , = , == , != ) 들이 있다. 연산자 설명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면 true, 아니면 false =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 아니면 false == 왼쪽과 오른쪽이 서로 같으면 true, 아니..
JAVA 입력 Scanner 입력 콘솔창에 자기가 원하는 값을 입력해서 변수에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그건바로 Scanner 이라는 클래스를 이용하는 것이다.Scanner이라는 클래스를 쓰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1. 패키지 불러오기2. Scanner 클래스 사용하기 1. 패키지 불러오는 방법 패키지란 무엇일까? 패키지는 비슷한 성격의 자바 클래스들을 모아둔 것을 말한다.그래서 패키지 안에 있는 클래스들을 사용할 때는 패키지를 불러와야한다.불러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import 패키지명; ex) import java.util.Random; ▶Scanner라는 클래스는 java.util.Scanner에 있다. 2. Scanner 클래스 사용하는 방법 Scanner 참조변수; 참조변수 = new Scanner(System..
JAVA 화면 출력print() 화면 출력 print() 함수로 콘솔 창에 원하는 내용을 쓰면 출력 할 수 있다. 하지만 print()를 바로 쓰면 되는 것이 아니다. System.out.print("출력할 내용"); 을 써야 한다. java는 객체지향언어여서 모든것이 클래스로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만 알아두고 다음 코드를 보자 주의해야 할 것은 " " 안에 자기가 원하는 문구를 적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변수 출력은 어떻게 할까? 그리고 줄바꿈은 어떻게 할까? 다음 코드를 보자 print()는 단순히 출력하는 것이고println()은 출력을 하고 난 후 한칸 띄우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리고 마지막 printf() 는 C언어와 기능이 똑같다. ▶변수와 문장을 같이 쓰는 방법변수와 출력하고 싶은 문장을 같이 출력 하려면 16번줄처럼 ..

LIST